모니터 키보드 연결를 사용하는 형태를 영어로 합니다.
지난번에 라즈베리파이 4라즈베리파이 프로세스를 이 형식으로 게시했습니다.
이번에는 이 에서 라즈베리파이 아닌 우분투의 설치를 사용해 보았는데 그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예상대로 모니터 및 키보드 연결 없이 카드 리더기로만 진행합시다.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여기에서 이미저를 다운로드하고 우분투 서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취향에 따라 또는 다른 버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설치 이후에 지난번과 같이 파티션의 최상위 경로에 빈 파이파일을 넣고 파이먼저 접속한다.
최초 접속 시 아이디와 비밀번호는인데 로그인 후 변경해야 합니다.
그 이후에는 고정 설정을 해줘야 하는데 패키지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이 과정에서 약간의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우분투의 버전이 바뀌면서 패키지의 기능과 사용법이 조금씩 바뀌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던 방법들이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제가 지금 쓰고 있는 방법은 우분투 242 64비트 버전에서 잘 작동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위의 명령어를 통해 폴더를 입력하고 기본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합니다.
그리고 위의 명령어로 파일을 수정했는데 파일 내용은 이렇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간격이 정확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공백의 개수가 1이라도 차이가 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하나의 들여쓰기는 4칸입니다
참고 마지막으로 보안 및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모든 패키지를 업데이트합니다.
자동 보안 패치는 처음 몇 분 동안 업데이트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